반응형 의사소통2 마음의 다리 라포르(Rapport) 외국 여행 중에 병이 나면 가장 곤란한 것이 의사와의 의사소통 문제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 나라 말로 문진의 내용을 체크리스트로 만든 책도 팔고 있다고 합니다. 그냥 아프다고 해 서는 쓰린지 쑤시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환자는 증세를 상세하고도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고 거짓 없이 솔직하게 고백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또한 비록 말은 통하지 않더라도 이 의사는 내 병을 고칠 수 있다고 하는 신뢰감과 병을 고치겠다고 하는 각오가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의사는 그런 신뢰감과 자신감을 갖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이럴 때 의사가 환자에게 “마음의 다리”를 놓는 말을 의학에서는 라포르Rapport)라고 부릅니다. 라포르는 카운슬링심리테스트교육분야 등에서도 중요시되는데특히 심리요법이나 최면 요법에서는 단순한 언어에 .. 2021. 8. 18. 조직 발전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소통 대화는 한 조직 운영에 있어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의사소통 기능은 물론, 조직원 통합의 역할을 합니다. 대화를 무작정 하는 것도 보다는 잘하는 것이 이로움은 당연합니다. 그런데 대와에서의 '말 잘하기'는 결코 개인의 유창한 언변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아무리 필요하고 정확한 말이라도 어떤 때는 지나치게 일방적으로 장황함으로 인해 그 정당한 내용이나 의도가 훼손되어 효과가 반감되거나 역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조직'보다는 '나'만을 생각하는 부당한 자기 과시와 자기 보호라는 두 가지 태도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자기 과시는 대개 어떠한 일을 가르쳐 줄 때, 잘못을 지적할 때, 혹은 지시할 때 드러나기 쉽습니다. 자신이 어떤 분야에서 오랫동안 일을 했다고, 혹은 지위가 높다고 해서.. 2021. 7. 23. 이전 1 다음 반응형